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윈도우11 모든 것

by ௹헤이카오 2021. 10. 6.
반응형

윈도우11 모든 것

기존 윈도우 시리즈에서 요구 사양이 크게 향상되었다. 특히 CPU는 TPM 지원이나 보안 관련 명령어 문제로 사실상 최소 사양이 아니라 권장사양을 요구하고 있어서 그 정도가 크다. 요약하면 RAM 이나 CPU 성능, HDD 용량, GPU 등 기본적인 요구 사양 외에도 보안을 위한 TPM 2.0 모듈을 갖추어야 하고 UEFI 부트로더를 사용하고 Secure Boot를 활성화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때문에 Microsoft 공식 컴퓨터 사양 확인 툴은 최소 사양을 충족해도 권장 사양급이 아니면 칼같이 지원 불가 메시지를 출력하고 있다. 가령 스카이레이크이지만 6세대 코어 i 시리즈가 아닌 스카이레이크 펜티엄이라서 설치가 불가능하다고 나오며 최소 사양을 통과하지 못하는 사례가 나오기도 하는 등, CPU 사양을 꽤 따지는 편인 것으로 보인다. 저가형 CPU는 이렇게 실질적인 최소 사양을 갖추었어도 호환 불가능한 CPU라서 설치가 안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애초 베타 버전에서는 미지원 CPU의 우회설치가 가능했지만, 정식 버전에서는 우회설치 가능성을 차단할 계획이었다. 또한 2021년 8월 기준 인텔의 7세대 HEDT 프로세서가 테스트 이후 공식 지원 프로세서로 추가되었지만, 나머지 인텔 7세대 프로세서와 AMD의 1세대 라이젠 프로세서는 공식 지원에서 제외되었다. 두 제품군은 각각 2017년 10월, 2018년 4월 출시되었으니 2018년 중반 이후에 구입한 PC에는 설치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2021년 8월 27일, Microsoft는 미지원 CPU라도 TPM 1.2만 지원하면 ISO 이미지를 통한 클린 설치는 막지 않겠다고 하였다. 이후 업데이트도 지원하나 Windows 업데이트가 안 되고 문제가 발생하면 제조사 보증을 받을 수 없다는 경고문을 추가했다. 만일, 2021년 8월 27일 발표대로 출시된다면 실질적인 CPU 최소 사양은 인텔 6세대 프로세서, AMD 1세대 라이젠 프로세서가 된다.

CPU

더 이상 32비트 전용 프로세서, 즉 AMD64 혹은 AArch64를 미지원하는 CPU를 더 이상 지원하지 않으며 최소한 듀얼코어 프로세서를 요구해 싱글코어 CPU를 지원하지 않는다. 클럭은 1 GHz 이상[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후기형 프레스캇 이전에 출시했던 CPU에서는 설치가 불가능하다. Microsoft 기술문서에 따르면 Windows 10에서 요구하는 명령어(PAE, NX, SSE2, CMPXCHG16B, LAHF/SAHF, PrefetchW 등)에 더해 SSE4.1 명령어를 추가로 요구한다고 한다. 즉 별도의 우회방법이 발견되거나 하지 않는다면 콘로/켄츠필드, 그리고 AM3 기반의 페넘/애슬론 II 시리즈 이하로는 요구 사양을 맞추지 못해 설치가 안 될 가능성이 높다. SSE4.1은 인텔 펜린(요크필드), AMD FX(잠베지)부터 지원한다. 그러나 UEFI와 TPM 2.0을 기본적으로 지원해야 하므로 하드웨어 TPM 모듈을 추가 장착한다는 전제 하에서 인텔 4세대 하스웰, AMD FX 시리즈가 Windows 11을 설치할 수 있는 실질적인 최소 사양의 CPU이다. 다만 최소사항 CPU들은 구동만 가능할 뿐 업데이트 및 기타 기술지원이 불가능해 사실상 권장사항 이상 CPU를 써야한다.

메모리

최소 요구 메모리가 4 GB로 Windows 10 64비트보다 2배 늘어났다.

메인보드

레거시 바이오스는 지원하지 않으므로 UEFI 사용이 필수가 되었다. 또한 UEFI 설정에서 Secure Boot 활성화가 가능해야 한다.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등이 모두 다 UEFI여야 하며 하나라도 레거시인 경우 기본적으론 설치가 불가능하다. CSM 모드를 활성화하면 레거시 모드가 되므로 당연히 설치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TPM 2.0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 개발 초기에는 1.2 이상이었으나 2.0으로 상향되었다. 2016년 TPM 내장 의무화 이전 인텔 하스웰, AMD FX는 메인보드에 별도의 TPM 보안칩을 달아야 한다.

GPU

WDDM 2.x를 지원하는 DirectX 12.0 이상 지원 GPU에서만 설치할 수 있다. DirectX 12를 지원하지 않는 라데온 HD 5000~6000 이전 시리즈, 지포스 GTX 200 이전 시리즈, 인텔 7세대 그래픽스 이전 시리즈의 제품군은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UEFI 부팅을 강제하므로 DirectX 12 GPU 중에서도 사실상 UEFI GOP 지원 GPU에서만 설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2018년 이전 출시한 그래픽 카드 중 일부 구형 DirectX 12 그래픽 카드는 펌웨어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제조사에서 바이오스를 추가로 제공하기도 하지만, 그와 상관없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업데이트하는 것도 가능하다. # 지원하지 않아도 가끔 억지로 부팅이 되는 경우가 있으나 UEFI 화면이나 Windows 로고 등을 볼 수 없어 실사용이 불편하다. 다만 GTX 200 시리즈와 HD 5000~HD 6000 시리즈는 GOP 업데이트가 가능하나 DirectX 12를 지원하지 않아 아래 항목처럼 우회 설치해야 한다.

디스플레이

Windows 10 이후부터 9인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요구하며 그 이하 기기는 윈도우 모바일을 사용하는 대신 무료로 OS가 제공되었다. 해상도는 기본적으로 HD(720p) 이상을 지원해야 하며 8 bpc 1600만 색상의 트루 컬러를 기본적으로 지원해야 하며 과거의 256색과 하이 컬러(6만 5천색) 디스플레이는 권장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및 기타

홈 에디션을 컴퓨터에 최초 설치할 때 반드시 인터넷에 연결이 필요하며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요구한다. 이전 버전이 인터넷 접속이 되지 않는 경우에 대비하여 인증을 뒤로 미루거나 전화 등의 간접적 방법을 지원하던 것과는 크게 바뀐 것이다. S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할 때에도 인터넷 연결이 필수다.

반응형

댓글